01  학생시기 : 1929년 12월~1950년 6월

리영희재단_연보사진1

1929년 12월 2일 평북도 북진군 운산면 출생.
1933년 (5세) 삭주군 외남면 대관동으로 이주하여 이곳에서 성장.
1936년 (8세) 대관초등학교 입학
1942년 (14세) 대관초등학교 졸업 후 갑종 5년제 중학교인 경성공립공업학교 01전기과 입학
1945년 (17세) 중학교 4학년 때 근로동원 피해 귀향한 고향에서 해방을 맞음.
1946년 (18세) 7월 국립해양대학교(현 한국해양대, 당시 인천소재) 항해과 입학
1947년 (19세) 부모와 동생 명희 월남하여 충북 단양에 거주
1948년 (20세) 10월 항해 실습 중 여수순천반란 사건 목격. 상해 행 취소로 중국혁명 인지.
1950년 (22세) 3월 국립해양대학교(당시 군산소재) 항해과 졸업 후 경북 안동의 안동공립중 (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근무 시작.

 

02 군인시기(1950년 6월~1957년 8월)

리영희재단_연보사진2

1950년 8월 16일 (22세)  육군 유엔군 연락장교단 후보생(제4기)
1950년 10월 육군중위 임관(제11사단 9연대 배속) 지리산 일대에서 근무
1951년(23세) 국민방위군 사건 목격과 거창양민학살사건 목격. 20연대 배속 태백산·설악산 등 최전방 동해안 근무. 가을 동생 명희 사망
1953년 7월 27일 (25세) 휴전으로 마산 군의학교에 배속.
1954년 (26세) 부산 육군 제5관구 사령부로 민사부 관재과 배속. 유엔군 시설접수 업무 수행.
1956년(28세) 11월 13일 제주 출신 윤영자 여사와 군산에서 결혼
1957년(29세) 8월 16일 육군소령 예편.

 

03  기자시기 : 1957년 9월~1971년 10월

리영희재단_연보사진3

1957년 9월 (29세) 공채로 합동통신사 외신부기자로 입사.
1959년 (31세) 『워싱턴 포스트』에 ‘한국통신원’이라는 익명으로 기고 시작(1962년 2월까지)
8월 첫아들 희주에 이허 부친 이근국 옹 별세. 9월말 풀부라이트 계획으로 미 국 노스웨스턴대 신문학 연수(6개월)
1960년 1월말 (32세) 미국에서 하와이 거쳐 귀국. 하와이에서는 이승만 대통령 관련 취재
1960년 4월 19일 4.19혁명현장 참여 및 취재 및 학생 희생 막기 위해 동분서주.
1961년 11월 (33세)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방미여행 수행. 군부정권에 불리한 내용의 특종보도 터트리고 수행취재 중단하고 귀국
1962년 (34세) 합동통신 정치부로 옮겨 중앙청과 외무부 출입.
1964년 10월(36세) 『조선일보』 정치부로 이직하여 중앙청 외무부 출입.
11월 21일 첫 필화사건. 「유엔의 한국문제 토의에 있어서 중립국의 동향」 기 사로 반공법 위반 혐의 구속. 12월 27일 구속 만기로 석방
1965년 (37세) 『조선일보』 외신부장
1966년 9월 (38세) 아시아의원연맹 총회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전 일본총리 기시 노부스케(岸 信介)를 워커힐에서 인터뷰하여, 유사시 일본군의 한반도 개입을 가상한 ‘미스 야(三矢)계획’ 폭로. 중앙정보부에 연행됨.
1967년 (39세) 『창작과 비평』 『정경연구』 등에 국제관계 논문 본격 기고 시작
1969년 (41세) 베트남 국군파병 비판적 입장 고수. 박정희 정권 압력으로 7월 31일 『조선일 보』 퇴사(언론사 1차 해직) 양계사업·택시기사 모친 반대로 포기하고 6개월간 서적 외판원 생활
1970년 2월 7일 (42세) 합동통신 재입사. 외신부장으로 근무.
1971년 4월 19일 (43세) 결성된 민주수호국민협의회에 2기 이사로 참여. 10월 15일 학원탄압 에 반대하는 ‘64인 지식인 선언’으로 합동통신 강제해직(언론사 2차 해직)

 

04  교수시기 : 1972년 1월~1995년 3월

리영희재단_연보사진4
1972년 1월 (44세) 한양대 신문학과 조교수로 임용. 3월 28일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 한국지부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
1974년 5월 1일 (46세)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설립 주도. 6월 첫 저서 『전환시대의 논리』(창 비) 출간. 12월 민주회복국민회의에 이사로 참여
1976년 2월 28일 (48세) 1975년 개정된 ‘교육공무원법’ 발효에 따른 교수재임용제 시행으로 한양대에서 강제 해임(교수 1차 해직)
1977년 11월 23일 (49세) 『8억인과의 대화』 『우상과 이성』 문제로 반공법위반 혐의 구속. 12 월 27일 모친 최희저 여사 별세. 상주 없이 친지들이 장례 거행.
1978년 11월 26일 (50세) 옥중에서 「상고이유서」 작성.
1980년 1월 9일 (52세) "광주형무소에서 2년형 마치고 만기 출소. 3월 7일 ‘서울의 봄’으로 사면 및 복권. 한양대 복직. 5월 17일 ‘광주소요’ 배후 조종자 한사람으로 날 조되어 다시 구속, 7월 중순 석방. 한양대에서 강제해임(교수 2차 해직)"
1984년 1월 10일 (56세) "기사연 사건(교과서 통일문제 관련 특강)으로 구속, 3월 10일 2개월 만에 석방. 7월 17일 4년 2개월 만에 한양대 복직."
1985년 (57세) 일본 동경대 사회과학연구소 초빙교수(1학기). 5월 高崎宗司 교수 편역으로 일 본어판 평론집 『分斷民族の苦惱』(御茶の水書房) 출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학·교회사회과학연구소 초빙교수(2학기).
1987년 8월 (58세) 미국 버클리대(U. C. Berkeley) 아시아학과에서 한학기 동안 ‘한반도 갈등 과 평화’ 강의.
1988년 5월 15일 (59세) 『한겨레신문』 창간주도(창립 이사 및 논설고문). 당시 주한 미국대사 릴리와 ‘광주사태’ 책임관련 지상논쟁 벌임
1989년 (60세) 『한겨레』 방북취재 기획 건으로 4월 14일 구속(160일 만에 석방). 12월 『회갑 기념문집』(두레) 봉정. 12월 16일 주한 외국언론인협회에서 주는 ‘언론자유상’ (Press Freedom Award) 수상.
1991년 3월 (62세) 미국 버클리대 주최 남북심포지엄 참석 통일전망 주제발표.
1992년 10월 21일 (63세) 좌골신경통 악화로 한양대 병원 입원(11월 14일 퇴원)
1993년 4월 (64세) 통일원 통일정책평가위원
1994년 (65세) 가을 18년 살았던 화양리 단독주택에서 군포시 수리동(산본) 아파트로 이주
1995년 3월 15일 (67세) 한양대 정년퇴임. 동대학 언론정보대학원 대우교수. 5월 『새는 ‘좌 우’의 날개로 난다』로 한길사가 제정 ‘단재상’ 수상.

05  은퇴이후 : 1995년 4월~2010년 12월

황장엽과리

1997년 (69세) 봄 결혼 40주년 기념으로 윤영자 여사와 19일간 이집트 등 여행. 중국 통해 백두산 천지 등정.
1998년 5월 11일 (70세) 『한겨레』 창간 10주년을 맞아 황장엽과 대 담. 11월 9일 ‘남북한 어 린이 어깨동무’ 사업 관련 5일간 방북, 평양에서 조카와 상봉.
1999년 6월 (71세) 문익환목사기념사업회의 ‘늦봄통일상’ 수상. 12월 23일 고희기념 산문집 『동굴 속의 독백』(나남) 출간
2000년 5월 (72세) 제1회 세계한민족 포럼 참가(5.2-5.4 미국 뉴저지). 8월 9일 설악산 백담 사에서 만해사상실천선양회가 주는 ‘만해상(실천부문)’ 수상. 8월 『반세기의 신 화』를 재일학자 徐勝 교수가 번역하여 『朝鮮半島の新ミレニアム』(社會評論社) 이름으로 출간. 11월 16일 산본 자택에서 뇌출혈 발병, 투병 시작.
2003년 3월 28일(75세) 이라크파병 반대집회 참여 연설. 여름 중국의 북경과 노신의 고향 소흥 노신기념관 등 방문.
2004년 (76세) 봄 민족문제연구소 임헌영 이사장과 ‘자서전’ 출간위한 대담 시작.
2005년 3월 (77세) 자전에세이 대담집 『대화: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한길사) 출간. 6월 ‘지 식인과 사회책임’ 주제로 성공회대에서 특강. 7월 중국 심양에서 열린 한중노 신학회 참가.
2006년 5월 (78세) 한국기자협회에서 주는 ‘기자의 혼상’과 심산사상연구회에서 주는 ‘심산상’ 동시 수상. 6월 세계한민족포럼(6.15-6.20 모스크바) 참석. 상트페테르부르크 (레닌그라드)여행. 8월 30일 『21세기 아침의 사색』(한길사)이 포함된 『리영희 저작집』(전12권, 한길사) 출간.
2007년 4월 (79세) 한겨레통일문화재단에서 주는 ‘한겨레통일문화상’ 수상
2008년 6월 (80세) 전남대 제정 ‘후광 김대중 학술상’ 수상
2009년 7월 (81세) 인권연대 10주년 기념행사 강연: MB정권의 파시즘 행태 비판
2010년 3월 이후 (82세) 간경화 심화로 입원 및 투병. 12월 5일 0시 30분 서거.
12월 9일 민주사회장으로 국립 5‧18민주묘지(광주)에서 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