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학생시기 : 1929년 12월~1950년 6월
1929년 12월 2일 | 평북도 북진군 운산면 출생. |
1933년 (5세) | 삭주군 외남면 대관동으로 이주하여 이곳에서 성장. |
1936년 (8세) | 대관초등학교 입학 |
1942년 (14세) | 대관초등학교 졸업 후 갑종 5년제 중학교인 경성공립공업학교 01전기과 입학 |
1945년 (17세) | 중학교 4학년 때 근로동원 피해 귀향한 고향에서 해방을 맞음. |
1946년 (18세) | 7월 국립해양대학교(현 한국해양대, 당시 인천소재) 항해과 입학 |
1947년 (19세) | 부모와 동생 명희 월남하여 충북 단양에 거주 |
1948년 (20세) | 10월 항해 실습 중 여수순천반란 사건 목격. 상해 행 취소로 중국혁명 인지. |
1950년 (22세) | 3월 국립해양대학교(당시 군산소재) 항해과 졸업 후 경북 안동의 안동공립중 (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근무 시작. |
02 군인시기(1950년 6월~1957년 8월)
1950년 8월 16일 (22세) | 육군 유엔군 연락장교단 후보생(제4기) |
1950년 10월 | 육군중위 임관(제11사단 9연대 배속) 지리산 일대에서 근무 |
1951년(23세) | 국민방위군 사건 목격과 거창양민학살사건 목격. 20연대 배속 태백산·설악산 등 최전방 동해안 근무. 가을 동생 명희 사망 |
1953년 7월 27일 (25세) | 휴전으로 마산 군의학교에 배속. |
1954년 (26세) | 부산 육군 제5관구 사령부로 민사부 관재과 배속. 유엔군 시설접수 업무 수행. |
1956년(28세) | 11월 13일 제주 출신 윤영자 여사와 군산에서 결혼 |
1957년(29세) | 8월 16일 육군소령 예편. |
03 기자시기 : 1957년 9월~1971년 10월
1957년 9월 (29세) | 공채로 합동통신사 외신부기자로 입사. |
1959년 (31세) | 『워싱턴 포스트』에 ‘한국통신원’이라는 익명으로 기고 시작(1962년 2월까지) |
8월 | 첫아들 희주에 이허 부친 이근국 옹 별세. 9월말 풀부라이트 계획으로 미 국 노스웨스턴대 신문학 연수(6개월) |
1960년 1월말 (32세) | 미국에서 하와이 거쳐 귀국. 하와이에서는 이승만 대통령 관련 취재 |
1960년 4월 19일 | 4.19혁명현장 참여 및 취재 및 학생 희생 막기 위해 동분서주. |
1961년 11월 (33세) |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방미여행 수행. 군부정권에 불리한 내용의 특종보도 터트리고 수행취재 중단하고 귀국 |
1962년 (34세) | 합동통신 정치부로 옮겨 중앙청과 외무부 출입. |
1964년 10월(36세) | 『조선일보』 정치부로 이직하여 중앙청 외무부 출입. |
11월 21일 | 첫 필화사건. 「유엔의 한국문제 토의에 있어서 중립국의 동향」 기 사로 반공법 위반 혐의 구속. 12월 27일 구속 만기로 석방 |
1965년 (37세) | 『조선일보』 외신부장 |
1966년 9월 (38세) | 아시아의원연맹 총회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전 일본총리 기시 노부스케(岸 信介)를 워커힐에서 인터뷰하여, 유사시 일본군의 한반도 개입을 가상한 ‘미스 야(三矢)계획’ 폭로. 중앙정보부에 연행됨. |
1967년 (39세) | 『창작과 비평』 『정경연구』 등에 국제관계 논문 본격 기고 시작 |
1969년 (41세) | 베트남 국군파병 비판적 입장 고수. 박정희 정권 압력으로 7월 31일 『조선일 보』 퇴사(언론사 1차 해직) 양계사업·택시기사 모친 반대로 포기하고 6개월간 서적 외판원 생활 |
1970년 2월 7일 (42세) | 합동통신 재입사. 외신부장으로 근무. |
1971년 4월 19일 (43세) | 결성된 민주수호국민협의회에 2기 이사로 참여. 10월 15일 학원탄압 에 반대하는 ‘64인 지식인 선언’으로 합동통신 강제해직(언론사 2차 해직) |
04 교수시기 : 1972년 1월~1995년 3월
1972년 1월 (44세) | 한양대 신문학과 조교수로 임용. 3월 28일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 한국지부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 |
1974년 5월 1일 (46세) |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설립 주도. 6월 첫 저서 『전환시대의 논리』(창 비) 출간. 12월 민주회복국민회의에 이사로 참여 |
1976년 2월 28일 (48세) | 1975년 개정된 ‘교육공무원법’ 발효에 따른 교수재임용제 시행으로 한양대에서 강제 해임(교수 1차 해직) |
1977년 11월 23일 (49세) | 『8억인과의 대화』 『우상과 이성』 문제로 반공법위반 혐의 구속. 12 월 27일 모친 최희저 여사 별세. 상주 없이 친지들이 장례 거행. |
1978년 11월 26일 (50세) | 옥중에서 「상고이유서」 작성. |
1980년 1월 9일 (52세) | "광주형무소에서 2년형 마치고 만기 출소. 3월 7일 ‘서울의 봄’으로 사면 및 복권. 한양대 복직. 5월 17일 ‘광주소요’ 배후 조종자 한사람으로 날 조되어 다시 구속, 7월 중순 석방. 한양대에서 강제해임(교수 2차 해직)" |
1984년 1월 10일 (56세) | "기사연 사건(교과서 통일문제 관련 특강)으로 구속, 3월 10일 2개월 만에 석방. 7월 17일 4년 2개월 만에 한양대 복직." |
1985년 (57세) | 일본 동경대 사회과학연구소 초빙교수(1학기). 5월 高崎宗司 교수 편역으로 일 본어판 평론집 『分斷民族の苦惱』(御茶の水書房) 출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학·교회사회과학연구소 초빙교수(2학기). |
1987년 8월 (58세) | 미국 버클리대(U. C. Berkeley) 아시아학과에서 한학기 동안 ‘한반도 갈등 과 평화’ 강의. |
1988년 5월 15일 (59세) | 『한겨레신문』 창간주도(창립 이사 및 논설고문). 당시 주한 미국대사 릴리와 ‘광주사태’ 책임관련 지상논쟁 벌임 |
1989년 (60세) | 『한겨레』 방북취재 기획 건으로 4월 14일 구속(160일 만에 석방). 12월 『회갑 기념문집』(두레) 봉정. 12월 16일 주한 외국언론인협회에서 주는 ‘언론자유상’ (Press Freedom Award) 수상. |
1991년 3월 (62세) | 미국 버클리대 주최 남북심포지엄 참석 통일전망 주제발표. |
1992년 10월 21일 (63세) | 좌골신경통 악화로 한양대 병원 입원(11월 14일 퇴원) |
1993년 4월 (64세) | 통일원 통일정책평가위원 |
1994년 (65세) | 가을 18년 살았던 화양리 단독주택에서 군포시 수리동(산본) 아파트로 이주 |
1995년 3월 15일 (67세) | 한양대 정년퇴임. 동대학 언론정보대학원 대우교수. 5월 『새는 ‘좌 우’의 날개로 난다』로 한길사가 제정 ‘단재상’ 수상. |
05 은퇴이후 : 1995년 4월~2010년 12월
1997년 (69세) | 봄 결혼 40주년 기념으로 윤영자 여사와 19일간 이집트 등 여행. 중국 통해 백두산 천지 등정. |
1998년 5월 11일 (70세) | 『한겨레』 창간 10주년을 맞아 황장엽과 대 담. 11월 9일 ‘남북한 어 린이 어깨동무’ 사업 관련 5일간 방북, 평양에서 조카와 상봉. |
1999년 6월 (71세) | 문익환목사기념사업회의 ‘늦봄통일상’ 수상. 12월 23일 고희기념 산문집 『동굴 속의 독백』(나남) 출간 |
2000년 5월 (72세) | 제1회 세계한민족 포럼 참가(5.2-5.4 미국 뉴저지). 8월 9일 설악산 백담 사에서 만해사상실천선양회가 주는 ‘만해상(실천부문)’ 수상. 8월 『반세기의 신 화』를 재일학자 徐勝 교수가 번역하여 『朝鮮半島の新ミレニアム』(社會評論社) 이름으로 출간. 11월 16일 산본 자택에서 뇌출혈 발병, 투병 시작. |
2003년 3월 28일(75세) | 이라크파병 반대집회 참여 연설. 여름 중국의 북경과 노신의 고향 소흥 노신기념관 등 방문. |
2004년 (76세) | 봄 민족문제연구소 임헌영 이사장과 ‘자서전’ 출간위한 대담 시작. |
2005년 3월 (77세) | 자전에세이 대담집 『대화: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한길사) 출간. 6월 ‘지 식인과 사회책임’ 주제로 성공회대에서 특강. 7월 중국 심양에서 열린 한중노 신학회 참가. |
2006년 5월 (78세) | 한국기자협회에서 주는 ‘기자의 혼상’과 심산사상연구회에서 주는 ‘심산상’ 동시 수상. 6월 세계한민족포럼(6.15-6.20 모스크바) 참석. 상트페테르부르크 (레닌그라드)여행. 8월 30일 『21세기 아침의 사색』(한길사)이 포함된 『리영희 저작집』(전12권, 한길사) 출간. |
2007년 4월 (79세) | 한겨레통일문화재단에서 주는 ‘한겨레통일문화상’ 수상 |
2008년 6월 (80세) | 전남대 제정 ‘후광 김대중 학술상’ 수상 |
2009년 7월 (81세) | 인권연대 10주년 기념행사 강연: MB정권의 파시즘 행태 비판 |
2010년 3월 이후 (82세) | 간경화 심화로 입원 및 투병. 12월 5일 0시 30분 서거. |
12월 9일 | 민주사회장으로 국립 5‧18민주묘지(광주)에서 영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