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리영희재단
메뉴
    • 리영희재단
      • 재단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찾아오시는 길
      • 후원안내
      • 재단 소식
    • 재단사업
      • 공지사항
      • 리영희상
      • 다큐지원
      • 시민강좌
      • 기타사업
      • 재단FAQ
    • 인간리영희
      • 리영희 생애
      • 리영희 연보
      • 리영희를 기억하다
    • 리영희 아카이브
      • 저술(단행본)
      • 단행본 서문 모음
      • 단문
      • 대담과 인터뷰
      • 원고
      • 편지글
      • 사진
      • 동영상
      • 리영희 관련 저술 및 기사
      • 리영희가 받은 편지
      • 신문기사
    • 리영희 네트워크
    • 뉴스레터
    • 영상
    • 로그인

사진

064_리영희의 공간을 엿보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03-03 06:23
조회
2307

      


아파트 문 옆에 걸려 있는 문패
리영희는 손석희와의 인터뷰에서 아파트에 문패가 걸려 있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답한다.
“난 언제나 개인의 권위, 인격, 독립적 사유, 판단, 가치, 이런 걸 중요시하기 때문에 집단으로서의... 난 사실 국가보다 개인의, 인간의 중요성을 더 앞세워요. 그렇게 거창하게 나가지 않더라도 내가 7년 동안을 6.25에 군인으로서 군번으로 살아왔단 말이에요. 나는 없고, 나의 가치는 없고 오로지 번호. 그 다음에는 형무소에, 이 군부독재 정권하에서 여러 차례 형무소를 드나들면서 그때마다 소위 수번이라고 그러죠. 이 번호로 가슴에다 번호를 적어가지고 그걸로 불리었고 그 번호가 하여간 나를 대신했어. 그것이 내가 견딜 수 없는 정신적인 상처를 입은 거예요. 그래서 그것에 대한 보상을 위해서 했다면, 뭐 되지도 않는 일이지만, 하여간 싫으니까 번호보다 내 이름 문패를 걸어놓은 거예요.”
자유로운 개인의 자유로운 연대를 꿈꾸었던 리영희의 바람이 아파트 문패에서 읽힌다.


외출할 때 지팡이, 모자, 장갑 등을 챙기던 현관 공간
부인 윤영자씨에 의하면 리영희는 모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지팡이도 이철수 판화가를 비롯해 여러 사람에게서 선물받은 다양한 것들이 세워져 있다. 리영희는 화려하거나 치장을 하진 않았지만 자기 스타일을 의관에서도 갖으려 했던 사람이다. 사진에 보이는 장갑용 선반, 모자걸이용 봉도 직접 만든 것.


서재 문에 걸려 있는 장서표


 


   


부인 윤영자씨는 장례를 치르고 며칠 후 리영희 방을 더듬다가 기가 막혀서 헛웃음을 터뜨린다. 지금은 나무판때기만 옆을 막고 있고 위로는 술병이 보이지만 원래는 위에도 책으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 이 위장 술병은 간경화로 복수가 차오르는 리영희에게 윤영자가 금주령을 내리자 방에서 몰래 먹기 위했던 것. 종류 불문 애주가였던 리영희는 생의 마지막으로 갈수록 아주 조금씩의 막걸리나 맥주에 스스로를 순응시키는 듯 했다. 리영희가 얼마나 애주가인지를 아는 사람들은 그 모습에서 자신의 운명에 대한 복종과 화해의 작심을 보았다. 저 술은 선물 받으면 너무 좋아하면서 아껴 마셨던 조니워커 블루. 윤영자씨는 “그렇게 숨겨놓고 마실 거면 많이라도 마시지. 얼마 안 없어졌더라”고 했다.


 


  


침대에 누워서 책을 보기 위해 만든 램프
형광등을 책장 선반에 나무판을 덧대어 연장해서 고정시켰고 누운 채 켜고 끌 수 있게 스위치를 머리맡에 만들어 두었다. 형광등이 어두웠는지 손자들의 것일 법한 ‘동방신기’ 글자가 보이는 안쪽에 은박지로 처리된 박스를 길게 연장해 갓을 만들었다.


리영희 책상에 그대로 있는 문구류
정갈하게 깎여 있는 연필과 강아지 모양의 연필깎이가 보인다. 부채는 리영희 작고 이후 부인 윤영자씨가 유홍준 교수 등과 함께 교토여행을 했을 때, 윤영자가 술값을 턱 내놓으면서 이 돈은 리영희가 내는 겁니다 하자, 유홍준은 이 자리에 한 사람이 더 있습니다 하면서 사케로 리영희를 불러냈고 그 사이 화가 김정헌이 밖으로 나가더니 부채를 사갖고 와서 그림을 그려 선물한 것이라고 한다. 장일순 선생이 파서 선물한 도장, 책 보면대가 더 누워야 할 필요가 있었던지 뒷받침을 연장해서 만든 책받침대.


리영희는 공간을 그냥 이용만 하지 않았다. 그들의 쓸모를 더 높여주기 위해 다듬고 수정하는 식으로 함께 살았다.


 


 

공유하기
목록보기 이전 다음
2024/12/06 by. 관리자
073_1989년 12월 화갑기념문집 헌정식에서
2024/06/02 by. 관리자
072_대구에서 민주운동 인사들이 발행하는 <대구사회>지의 2003년 신년호에 보낸 글
2023/09/02 by. 관리자
071_조선일보 시절 이화여대생들과 함께한 청평댐으로의 야유회
2023/09/02 by. 관리자
070_1991년 8윌 28일 지리산에서
2023/09/02 by. 관리자
069_리영희와 임재경
2023/08/02 by. 관리자
068_리영희 선생의 80세 생일모임. "리영희 프리즘"의 출간의 기념을 겸해 작가진들과 함께했다.
2023/08/02 by. 관리자
067_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계곡 등산. 2009.10.25.
2023/08/02 by. 관리자
066_인권연대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의 강연이 끝난 후 독자들에게 사인을 해주다
2023/08/02 by. 관리자
065_인권연대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의 강연. 2009.7.1
2023/03/03 by. 관리자
064_리영희의 공간을 엿보다
2022/12/31 by. 관리자
063_1972. <유토피아> 제1독.
2021/02/26 by. 관리자
062_남북철도연결 시범열차에서,표정이 많은 걸 읽게한다
  • 1
  • 2
  • 3
  • 4
  • 5
  • 6
  • »
  • 마지막
Powered by KBoard

리영희재단

법인명 : 재단법인 리영희재단
대표자 : 김효순
고유번호 : 105-82-20554

연락처

02-710-0286
rheeyeunghui@gmail.com
<04186> 서울특별시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신문사 3층 (공덕동 116-25)

카카오톡 상담하기

청렴포털

국세청 logo

국민권익위원회 logo
Copyright © 2025 리영희재단. All Rights Reserved.
Screenr parallax theme 제작자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