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영희를 함께 읽다> 출판
작성자
재단 사무국
작성일
2019-08-18 18:03
조회
2653
2016년 리영희재단과 창비학당이 공동으로 기획한 '리영희 함께 읽기' 강좌의 내용을 엮은 책이다. 고병권, 김동춘, 구갑우, 홍윤기, 박태균, 백승욱, 서중석, 김정남, 최영묵, 김효순 등 동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이 저마다의 관심과 관점으로 리영희 텍스트를 독해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여러 시민들과 함께 나눈 결과다.
기자·비평가·학자로서 리영희에게 글쓰기란 곧 실천이었다. 박정희-전두환으로 이어지는 권위주의 군사독재체제를 뚫고 나온 그의 글은 아홉번의 연행, 다섯번의 수감, 세번의 재판과 더불어 '해직언론인' '해직교수'라는 타이틀을 안겨줬다. 오늘의 시민-지식인들이 리영희를 함께, 다시 읽는 까닭은 그를 현대사의 주요 인물로 기리거나 과거의 한 페이지로 간직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가 자기 삶을 걸고 싸워온 우상들 ― 식민잔재, 반공이데올로기, 핵과 전쟁 ― 이 여전히, 그리고 또다시 위력을 떨치고 있기 때문이다.
리영희의 대표작이자 첫 저서인 <전환시대의 논리>(1974)부터 그가 투병 중에 완성한 구술회고록 <대화>(2005)에 이르기까지 리영희의 사유를 다시 사유함으로써 자유인, 해방된 시민으로 사는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 차
책머리에 리영희를 함께 읽는다는 것 | 권태선
일러두기
1부 사상을 읽다
사유란 감옥에서 상고이유서를 쓰는 것: 리영희의 루쉰 읽기 | 고병권
분단·통일문제에 대한 리영희의 생각 | 김동춘
리영희의 국제정치비평 읽기: 핵의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 구갑우
민주시민의 철학으로서 ‘리영희 철학’ | 홍윤기
2부 역사를 읽다
베트남전쟁』 이후 30년, 베트남전쟁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박태균
리영희 사유의 돌파구로서 중국 문화대혁명 | 백승욱
친일파·‘친한파’, 일본의 과거사 반성 | 서중석
3부 삶을 읽다
리영희 선생과의 50년 | 김정남
전환시대의 논리』부터 『대화』까지 | 최영묵
리영희와 저널리즘 | 김효순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아래 주소로 가세요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00442209
기자·비평가·학자로서 리영희에게 글쓰기란 곧 실천이었다. 박정희-전두환으로 이어지는 권위주의 군사독재체제를 뚫고 나온 그의 글은 아홉번의 연행, 다섯번의 수감, 세번의 재판과 더불어 '해직언론인' '해직교수'라는 타이틀을 안겨줬다. 오늘의 시민-지식인들이 리영희를 함께, 다시 읽는 까닭은 그를 현대사의 주요 인물로 기리거나 과거의 한 페이지로 간직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가 자기 삶을 걸고 싸워온 우상들 ― 식민잔재, 반공이데올로기, 핵과 전쟁 ― 이 여전히, 그리고 또다시 위력을 떨치고 있기 때문이다.
리영희의 대표작이자 첫 저서인 <전환시대의 논리>(1974)부터 그가 투병 중에 완성한 구술회고록 <대화>(2005)에 이르기까지 리영희의 사유를 다시 사유함으로써 자유인, 해방된 시민으로 사는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 차
책머리에 리영희를 함께 읽는다는 것 | 권태선
일러두기
1부 사상을 읽다
사유란 감옥에서 상고이유서를 쓰는 것: 리영희의 루쉰 읽기 | 고병권
분단·통일문제에 대한 리영희의 생각 | 김동춘
리영희의 국제정치비평 읽기: 핵의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 구갑우
민주시민의 철학으로서 ‘리영희 철학’ | 홍윤기
2부 역사를 읽다
베트남전쟁』 이후 30년, 베트남전쟁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박태균
리영희 사유의 돌파구로서 중국 문화대혁명 | 백승욱
친일파·‘친한파’, 일본의 과거사 반성 | 서중석
3부 삶을 읽다
리영희 선생과의 50년 | 김정남
전환시대의 논리』부터 『대화』까지 | 최영묵
리영희와 저널리즘 | 김효순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아래 주소로 가세요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00442209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전체 85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46 |
제6회 리영희상 공모합니다 (2018년 10월 1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319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319 |
45 |
2018 리영희재단 강좌 열립니다 (2018년 9월 13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382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382 |
44 |
제4회 우수다큐 지원 대상작 발표 (2018년 5월 31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423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423 |
43 |
제4회 우수다큐 지원 공모에 참가한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8년 5월 25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332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332 |
42 |
리영희재단 우수다큐 지원작 <무료 상영회> & 제 4회 우수다큐 <지원 증서 수여식> (2018년 5월 21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469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469 |
41 |
리영희재단 제 4회 우수 다큐멘터리 지원 공모 (2018년 4월 19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548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548 |
40 |
2017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사용실적 공개 (2018년 3월 30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409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409 |
39 |
제5회 리영희상 시상식 열립니다 - 12월 1일 (2017년 11월 25일)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3634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3634 |
38 |
제5회 리영희상 수상자 발표 - 전 문화방송 기자 이용마 (2017년 11월 14일)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3745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3745 |
37 |
제2회 리영희재단 공개강좌 시작합니다 (2017년 9월 26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445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445 |
36 |
제5회 리영희상 공모 (2017년 9월 26일 게시)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674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674 |
35 |
영화 <공범자들> 시사회와 <권력과 언론> 출간기념 북토크에 초대합니다 (2017년 8월 24일)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852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852 |
34 |
<리영희 수필선집> 발간 - 2017년 8월 (2017년 8월 18일)
재단 사무국
|
2019.08.18
|
추천 0
|
조회 2656
|
재단 사무국 | 2019.08.18 | 0 | 26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