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세 나이 차이를 건너뛴 카센터 사장과의 우정 - 공학도, 노년에 경비행기를 타다 / 신완섭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9-02 03:55
조회
208

27세 나이 차이를 건너뛴 카센터 사장과의 우정


공학도, 노년에 경비행기를 타다



 


 


 


 


신완섭/리영희기념사업회(군포 소재) 운영위원장


고 리영희 선생이 서울 생활을 접고 신도시 산본에 입주한 해는 1994년 66세 때였다. 그로부터 2010년 지병으로 타계하기까지 15여 년 동안 지역에서 선생과 사적인 우정을 쌓은 이가 있으니 그는 바로 전 노루목카센터 대표를 지낸 김형준 씨이다. 2024년 8월 9일 오후 4시 30분, 군포 대야미 이디야 카페점에서 그를 만나, 두 분의 우정어린 미담을 들어보기로 했다.


푹푹 찌는 날씨에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인 소개를 간략히 부탁드립니다.


저는 1956년 전라남도 해남에서 태어났어요. 일찍이 상경하여 20대 초반에 서울 구로의 한국디자인포장센터에 입사, 1988년 퇴사하기까지 기계부에서 일했어요. 30살에 반장직에 올랐고, 같은 해부터 노사협의회 공동대표를 맡기도 했지요. 이곳 군포에는 1985년부터 주공아파트로 이사와 살고 있었습니다. 33살이던 1988년 회사를 그만두자마자, 21살 때(1976년) 자동차 정비사 자격을 따두었던 터라 지금의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 근처에 ‘성일카’ 정비소로 처음 문을 열었다가 신도시 입주가 한창이던 1994년 4월 노루목주유소에 딸린 ‘노루목카센터’로 확장 이전해 와서 주유소가 문을 닫던 2014년까지 정비사업을 계속했습니다. 그 후 제 사업을 접고 아들의 사업을 돕고 있습니다.


김 사장님의 노루목카센터 개업과 리영희 선생님의 아파트 입주 시기가 일치하는군요.


개업한 지 몇 달 지났을 무렵, 선생님이 차량정비를 위해 저희 가게에 처음 찾아오셨어요. 그리고 한두 번 더 차를 맡기신 이후에는 별다른 용무가 없어도 한 달에 한두 번꼴로 찾아오셔서 차에 대해 이것저것 물어보시거나 휴게실에서 신문만 보시다가 가시기도 하시더라고요. 그러던 어느 날 제가 구독해 보던 중앙일보 기사에 선생님 얼굴이 실린 걸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러나 저도 모르는 척 내색을 하지 않은 채 몇 달을 더 지내다가, 제가 몹시 궁금해져서 여쭤봤더니 “내가 제일 싫어하는 직업이 신문기자니 학자니 하는 사람들이야, 김 사장은 세상살이에 관해 그냥 내 말동무가 되어주면 고맙겠소” 하시더군요. 그 말씀처럼 선생님은 제 앞에선 정치나 언론 이야기는 일절 하지 않고 그저 일상적인 대화나 자동차에 관해 궁금한 것들만 여쭤보셨어요.


선생님과 좀 더 친밀해진 계기가 있었나요


선생님이 자주 찾아오셔도 카센터 특성상 정비할 차들이 밀려들면 북새통을 이루는 통에 선생님과 말동무해 주는 것도 쉽진 않았어요. 그런 날에는 슬그머니 조용히 가시기도 하고... 어떤 때는 여러 날을 보이시지도 않고... 나중에 알고 보니 요양차 어디 지방에 다녀오시기도 하고, 사모님과 백두산에 다녀오시기도 하고, 가족 상봉을 위해 방북하시기도 하고, 스승으로 모시는 노신의 고향 소흥 일대를 다녀오시기도 하고 ... 여하튼 건강이 썩 좋지 않은 가운데서도 여행 다니시는 걸 즐겨 하셨던 걸 알게 되었지요. 2000년 말경에는 댁에서 글을 쓰시다가 뇌출혈로 쓰러지기까지 했어요. 이 일로 수년간 거의 뵙지를 못했는데, 생각보다는 빨리 회복하셨지요. 나중에 말씀하시길, “그날 마침 아내가 장 보러 나간 사이에 뇌출혈 징후가 느껴져 늦지 않게 손수 119로 전화한 바람에 구사일생으로 목숨은 보전하였으나 오른쪽 반신마비를 치료하느라 고생 좀 했다”고 하시더군요. 어느 정도 회복된 2006년에 카센터로 놀러 오셔서 제가 사는 전원주택 생활을 궁금해하시길래 그날 오후 잠시 카센터 일을 직원들에게 맡기고 대야미 속달동에 있는 제 집으로 무작정 모시고 간 적이 있습니다. 마침 아내가 외출 중이라 차 한 잔도 제대로 대접해 드리지 못했으나 선생님은 대단히 평온한 기분을 느끼셨는가 봐요. 그 뒤 한 번 더 모시고 갔다가, 2008년 8,9월쯤에는 집사람에게 말해서 정식으로 선생님 부부를 초대해 식사를 대접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저의 둘째 아들 내외와 손주들까지 동원해서요. 이날 기분이 좋아지셔서인지 단풍나무 밑에서 막걸리를 딱 한 잔 마셨는데, 사모님의 특별 승낙(?)에 무척 감사해 하시더라구요. 아, 그전에 선생님만 모시고 집에 들렀을 때의 일화가 생각나는군요. 제가 집에서 기르던 두 마리 애완견 중 포인트종에게만 머리를 쓰다듬어 주자, 선생님께서 “저 백구(진돗개)에게도 머리를 쓰다듬어 주게, 빤히 쳐다보고 있는 저 개가 서운해하잖나” 하시던 말씀이 귀에 생생합니다.


2008년 김형준님 대야미 댁을 방문했을때 그의 가족들과 리영희 윤영자 (사진 제공: 김형준 님)


가장 많이 회자되는 소문이 경비행기 동승 사건입니다만...


1994년 봄에 문을 연 노루목카센터가 1년이 지날 무렵 정비사업으로 제법 안정된 수입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일이란 게 무슨 일이든 스트레스 없이 일할 수는 없잖아요. 서울 구로에 13년째 다니던 직장을 관두던 1988년 때부터 마음 수양 차 서예학원에 1년간 다녔고 또 몇 년간 해동검도를 배우기도 했어요. 그런데 제 어릴 적 꿈이 비행사였거든요. 1995년 어느 날 안산시 사리 옆을 지나가다가 경비행기 비행장(지금은 없어짐)을 우연히 보게 되었고 단숨에 “저걸 배우자” 외쳤어요. 당시 수업료로 거금 5백만 원을 들여 5개월간 열심히 배운 끝에 경비행기 조종사 라이선스를 획득했지요. 그 뒤로 한두 달에 한 번꼴로 비행을 즐겼는데, 비행은 당시 고된 내 삶의 탈출구이자 해방구였지요. 1996년 어느 한겨울에 제가 비행하는 장면을 다른 비행기를 몰던 비행사가 찍어주었는데 그 사진액자를 선물 받아 카센터 벽에 보란 듯이 걸어두었습니다.


리영희를 유혹한 카센터에 걸려있던 김형준 님의 겨울 비행 사진 (사진 제공: 김형준 님)


호기심 많은 선생님의 눈을 비켜갔을 리가 없어서 선생님은 “거 비행장이 어딘가” 정도의 질문은 하셨지만 사진에 대해 더 이상의 얘기는 안하고 계셨고 저도 일이 한참 바쁠 때라 경비행기 얘기는 꺼내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 2008년 어느 봄날, 선생님께서는 여지없이 경비행기의 모든 것에 대해 이것저것 물어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총동원하여 “경비행기는 ‘하늘을 나는 오토바이’입니다. 날개가 고정된 고정익형과 날개와 조종석이 분리된 체중이동형 두 가지 타입이 있는데, 기체의 밀도와 흐름을 잘 이용해야 하는 체중이동형이 난이도가 훨씬 높습니다. 비행기의 날개 끝이 위쪽으로 세워져 있는 윙넷(wingnet)은 공기의 와류(渦流,흐름) 해소가 목적이고요...” 대략 이런 정도로 설명해도 사진 한 장만으로 다 이해할 리 없으신 선생님은 분명히 비행장을 한번 가보고 싶어하는 눈치였습니다. 며칠 뒤 또 경비행기 얘기를 꺼내시길래 “선생님, 오늘 제가 시간을 내어 선생님을 안산 사리 비행장으로 모시고자 하는데 괜찮으시겠습니까” 하자, 선생님은 “마누라 귀에만 안 들어가는 조건부로 동의함세” 하셨습니다. 죽을 고비를 몇 차례나 넘긴 선생님의 건강을 생각해 위험천만한 일은 일체 금기시하는 사모님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선생님의 호기심을 꺾기에는 저로서도 역부족임을 알기에 그날 선생님을 모시고 사리 비행장으로 차를 몰았습니다. 비행장에 도착한 선생님은 비행기체를 손수 만져보시며 비행 원리와 조종법을 이해하는 데 여념이 없었습니다. 눈앞에 보이는 비행기를 만져보는 것만으로 만족할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 다행히 그날따라 일기 상태는 대단히 양호했으므로 조심스럽게 “선생님, 비행기도 한번 타 보시겠습니까” 여쭙자, 이번에도 “마누리 모르게 탑승해 보는 걸로 함세” 하며 동의하셨습니다. 그러나 초보비행사에 불과한 저로선 저와 동승하는 것이 안심이 안 되어서 선생님의 동승 비행은 베테랑 비행 조교에게 부탁했고, 그 부탁은 별 어려움 없이 받아들여졌습니다. 비행은 좋은 날씨만큼 순조로웠습니다. 고정익형 경비행기로 한 차례, 체중이동형 경비행기로 또 한 차례, 총 두 차례나 상공을 나는 장면은 그날에 제가 찍어드린 여러 장의 사진 속에 담겨있습니다.


리영희, 하늘을 날다. 고정익형 경비행기를 타는 모습. 비행사와 나란히 옆으로 탄다. (사진 제공: 김형준 님)
체중이동형 경비행기. 비행사와 앞뒤로 탄다. 김형준 님은 기온이 떨어질 것을 염두해 본인이 입고있던 정비복을 입혀드렸다고 했다. 뒤가 리영희. (사진 제공: 김형준 님)


아마도 리영희 선생님의 경비행기 탑승 사건은 선생님을 웬만큼 아시는 분들도 잘 몰랐을 겁니다. 그 뒤에도 탑승하신 적이 있었나요?


아뇨, 그날 두 종류의 경비행기를 번갈아 타 보신 것으로 끝냈습니다. 선생님께서 돌아가시기 불과 두 해 전의 일이어서 선생님의 기력이 다소 떨어져 있었고, 선생님 사모님의 감시망(?)을 피해 위험한 짓을 감행하는 것도 도리가 아니라는 생각에서요(웃음). 그런데 그해 8월 두 분이 함께 제집을 방문했을 때 사모님이 경비행기 탑승 일을 알고 계시더라고요. 저보고는 비밀에 부치라 하시고서는 정작 당신은 자랑하고 싶어 견딜 수가 없으셨던 것 같아요(웃음). 사실 경비행기를 타셨던 그날도 2번의 무사 이·착륙 후 무척 기분이 좋아서인지 비행 조교를 포함해 식사 대접을 하겠다고 하셨으나, 조교 선생님은 자리를 비울 수가 없는 바람에 저만 실컷 대접받은 기억이 납니다(웃음).


그 뒤에도 두 분의 만남은 계속 이어졌나요? 마지막 뵈신 때는 언제였는지요?


네, 선생님은 그 뒤에도 틈틈이 제 가게에 오셨습니다. 언제인지 기억이 가물하지만 <전환시대의 논리>와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선생님께서 펴내신 두 권의 책을 선물로 주셨고요. 제가 선생님을 마지막으로 뵌 건 서울 백병원 입원 때였어요. 그때가 아마 2010년 5월이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아내와 함께 병문안을 갔었지요. 선생님은 반갑게 맞아주셨지만 건강 상태는 썩 좋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선생님께서 “김 사장, 나는 말야, 김 사장이 오랜 친구 같아서 하는 얘긴데, 세상에서 주사바늘이 제일 무서워!” 하시더군요. 어린아이 같은 모습에 잠시 웃음을 못 참았던 기억이 나는군요. 그런데 말씀 중에 ‘오랜 친구’라고 저를 지칭해 주신 점은 지금도 의아합니다. 27살 나이 차로나 사회적 경륜으로나 감히 선생님 입을 통해 친구라 불려도 되는 건지 지금도 무척 송구해지는군요.


선생님 돌아가신 뒤에도 고향 해남에 들르거나 광주 근처로 가게 될 때면 5.18묘역에 묻혀계신 선생님 묘소를 자주 찾습니다. 그럴 때마다 아쉬운 점은 묘비에 새겨진 선생님 모습이 좀 더 편안하신 모습이면 좋았을 걸 하는 마음입니다. 제가 15여 년 동안 봐 온 선생님의 모습은 그랬으니까요.


(왼) 인터뷰 중인 필자와 김형준(왼쪽) 선생님 (오)김형준 님 댁에 있는 작업실. 취미로 가구 목공을 한다. (사진 제공: 김형준 님)


후일담


김형준 님은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임에도 무척 신중하고 겸손하며 말수도 적은 분이다. 어느날 일간지에 실린 선생의 사진을 보고서도 한참 동안 모른 척 지낼 정도로 순수한 교분을 중시하는 분이기도 하다. 아마 그런 모습에 반해 리영희 선생님은 서로 말동무가 되자고 마음을 열어주신 게 아닐까. 한결같았던 두 분의 15여년 우정을 통해 사상가 언론가가 아닌 인간 리영희를 만나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현재 김형준 님은 경기도 군포시 대야미 속달동에 거주하며 군포 지역의 <리영희기념사업회> 회원이기도 하다.

전체 7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73
리영희재단 이사를 시작하며 / 진영종
관리자 | 2024.09.02 | 추천 1 | 조회 161
관리자 2024.09.02 1 161
72
27세 나이 차이를 건너뛴 카센터 사장과의 우정 - 공학도, 노년에 경비행기를 타다 / 신완섭
관리자 | 2024.09.02 | 추천 5 | 조회 208
관리자 2024.09.02 5 208
71
리영희, 한겨울 매화의 봄마음-리영희와 장일순에 관하여 / 한상봉
관리자 | 2024.08.02 | 추천 7 | 조회 504
관리자 2024.08.02 7 504
70
리영희재단 특별상영회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 ‘호응’하는 주체, 감옥 안팎의 공투(共鬪) / 심아정
관리자 | 2024.08.02 | 추천 3 | 조회 469
관리자 2024.08.02 3 469
69
우리는 리영희 선생이 다시 그리워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 김세균
관리자 | 2024.07.02 | 추천 5 | 조회 735
관리자 2024.07.02 5 735
68
나의 창작활동에 빛이 되신 리영희 선생님! / 박순철
관리자 | 2024.06.02 | 추천 2 | 조회 1132
관리자 2024.06.02 2 1132
67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불수호란행不須胡亂行 / 이상원
관리자 | 2024.06.02 | 추천 1 | 조회 683
관리자 2024.06.02 1 683
66
평화와 자주, 여전히 가장 중대한 시대적 과제 / 문장렬
관리자 | 2024.04.30 | 추천 1 | 조회 637
관리자 2024.04.30 1 637
65
하나밖에 없는 영화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 김효순
관리자 | 2024.04.30 | 추천 5 | 조회 1463
관리자 2024.04.30 5 1463
64
리영희와 시작하는 앎 / 최진호
관리자 | 2024.04.01 | 추천 1 | 조회 677
관리자 2024.04.01 1 677
63
로힝야 제노사이드, 끝나지 않았다 / 이유경
관리자 | 2024.03.31 | 추천 1 | 조회 769
관리자 2024.03.31 1 769
62
‘기레기’ 멸칭 피폐해진 언론 환경 더 악화시킨다 / 김현석
관리자 | 2024.03.02 | 추천 1 | 조회 536
관리자 2024.03.02 1 536
61
굴복하지 않은 사람들 – 류춘도와 리영희 / 정지아
관리자 | 2024.02.29 | 추천 6 | 조회 868
관리자 2024.02.29 6 868